스쿠버 다이빙과 프리다이빙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속적인 산소 공급의 유무 여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리다이빙은 입수 전 숨을 크게 들이마신 후 호흡을 참으며 다이빙을 즐기기 때문에, 제한된 산소량으로 활동을 해야하고, 자신의 한계에 가까워지거나 한계를 넘어설 만큼 오랜 시간동안 다이빙을 하게 된다면 저산소증으로 인한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1. 저산소증의 3가지 형태
우리 몸속의 산소 분압이 한계치까지 다다를 때에 나타나는 저산소증 증상으로는 경련, 블랙아웃(BO), 얕은 물 졸도(SWB)가 있습니다. 경련이 나타나는 경우는 요구되는 산소량이 한계에 임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동 능력을 상실하게 되지만 다행히 아직 의식은 있는 상태입니다. 블랙아웃(BO)은 의식을 상실하는 단계이며, 의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량 이하로 산소를 소모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얕은 물 졸도(SWB)는 다이빙을 마친 후 수면으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깊은 수심에서는 페의 부피가 감소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은 산소 분압을 통해 의식을 유지할 수 있지만 얕은 수심으로 점차 상승하면서 폐가 다시 부풀어오르기 시작하고 그만큼 산소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뇌로 향하는 혈류에 산소포화도가 감소하게 됨으로써 물 속에서 기절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저산소증의 주요 증상
아래 나열하는 증상들은 저산소증이 나타났다는 근거로, 같이 프리다이빙을 하는 버디가 아래의 증상을 나타낸다면 곧바로 구조활동을 진행해야합니다.
- 갑작스런 날숨 : 순간 의식을 잃게 되면 운동능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폐 속에 공기를 보관하는 힘을 잃게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저산소증이 발현될 시, 갑작스런 날숨을 내뱉게 됩니다.
- 경련 : 산소포화도가 감소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팔, 다리, 머리를 포함한 안구 부위에서 경련이 일어나게 됩니다.
- 의식 상실 : 물 속에서 의식을 상실하면 프리다이버는 활동을 급작스레 멈추게 됩니다. 의식의 상실은 산소 분압이 저하되는 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급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 피부 색 변화 : 혈중 산소량이 부족하게 되면 입술, 귀, 얼굴 등 혈액이 잘 통하는 피부 표면의 색이 붉은색을 유지하지 못하고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프리다이빙 버디가 입술이 파란색을 띤다면, 이는 몸 속의 산소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니, 무리하게 다이빙을 하지 않도록 조언해주어야 합니다.
3. 저산소증을 피하는 방법
위에서 소개한 저산소증의 3가지 유형(경련, 블랙아웃, 얕은 물 졸도)은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이 아니며, 충분한 준비를 통해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을 피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절대 무리하지 않기 : 프리다이빙을 하며 우리는 다양한 기록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얼마나 장시간 잠수를 했는 지, 얼마나 깊이 잠수했는 지, 얼마나 멀리 유영했는 지 기록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록을 경신할 때에는, 자신의 이전 기록을 달성할 때 무리하지 않았는 지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이전 기록을 무리하게 달성했었다면, 신기록을 경신할 때 더욱 무리하게 한계치에 다다르게 되어 저산소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 올바른 장비 착용하기 : 맞춤형 프리다이빙 슈트, 유선형 마스크와 스노클, 롱핀 착용 등 산소 보존을 위해 적합한 장비를 올바르게 착용한다면 산소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저산소증의 가능성을 감소시켜주게 됩니다.
- 초과호흡을 피하기 : 과도한 호흡은 보어의 효과에 의해 우리의 혈액을 염기성으로 만듭니다. 염기성의 혈액 속에서는 적혈구와 산소의 결합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기 때문에, 산소가 필요한 장기와 조직에서 적혈구가 산소를 분리시키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산소가 필요한 장기와 조직에 산소 공급을 방해하게 되면서 결국 저산소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프리다이빙 전 과도한 호흡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프리다이빙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저산소증의 유형과 증상, 이를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치명적인 부상을 방지하고 물 속에서의 레져활동을 즐기기 위한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무리하지 않고 프리다이빙을 즐겨야하며, 같이 프리다이빙을 하는 버디가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곧바로 구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프리다이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다이빙 이론] 압력 평형(Equalizing)에 대하여 (0) | 2023.01.31 |
---|---|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폐 압착 (0) | 2023.01.31 |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다이빙 반사(Dive Reflex) (0) | 2023.01.30 |
[프리다이빙 이론]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생명체 (0) | 2023.01.30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장비 소개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