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리다이빙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폐 압착

by AlphaBetta 2023. 1. 31.

다이빙 중인 스쿠버다이버

앞서 알아보았던 생리학 이론 중 다이빙 반사 작용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다이빙 반사 작용을 통해 폐와 폐포의 모세혈관 끝까지 혈류를 보내게 되어 폐 압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분히 적응할 시간을 거치지 않고 무리하게 다이빙을 할 경우 다이빙 반사가 적절하게 발동하지 않아 폐 압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폐 압착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폐 압착의 원인

프리다이빙을 하면서 발생하는 폐 압착의 대부분의 원인은 적응시간의 부족입니다. 적절한 적응시간을 거치지 않고 무리하게 프리다이빙을 하는 경우에 수압에 의해 폐를 포함한 흉곽 부위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치명적인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2. 폐 압착의 증상

폐 압착이 일어나게 되면 폐포 조직이 손상되고, 기관과 모세기관지 조직이 파열되며, 심각한 경우 흉부 근육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폐포가 터지게 되어 기흉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조직이 손상되는 경우 출혈을 동반하기도 하여 어지럼증을 유발하거나 잔기침 시 각혈을 하기도 하고 증상이 심할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만약 한번 폐 압착이 발생했다면, 이 상태에서 더 이상 프리다이빙을 진행해서는 안됩니다. 프리다이빙을 언제 다시 시작해도 좋을 지 반드시 병원 진료를 통해 전문의와 충분한 상의를 거친 후에 폐 기능이 완전히 회복된 이후 다시 프리다이빙을 시작해야겠습니다.

3. 폐 압착을 방지하려면?

산악인이 산을 등반하기 전에 점진적으로 산악 환경에 적응하며 등반하듯이, 프리다이빙을 즐기는 다이버에게도 점진적인 적응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수심기록 달성에 너무 급급하여 과도한 속도로 하강할 경우 폐 압착을 동반한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리한 다이빙은 반드시 피해야겠습니다. 특정 수심을 지정한 후, 반복적인 프리다이빙을 통해 수심에 적응한 이후 점진적으로 깊은 수심으로 다이빙을 하는 것이 우리의 신체가 물 속에 더욱 빠르게 적응하게 하여 수압의 작용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아래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폐 압착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흉곽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 확보하기

- 오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프리다이빙 하지 않기

- 수심 적응에 많은 시간 투자하기

- 깊은 수심에서 급작스러운 동작 취하지 않기

- 무리한 압력평형 시도 금지


지금까지 폐 압착의 주요 증상과 이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전 충분한 적응시간을 통해 폐 압착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프리다이빙을 즐길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