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없이 유투브를 돌아다니다보며 프리다이빙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널리 알려진 명소에 해외여행을 갔을 때, 수면에서 하는 스노쿨링 뿐만 아니라 프리다이빙을 하면서 예쁜 동물들과 교감도 하고 특별한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고 프리다이빙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답니다. 프리다이빙을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장비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프리다이빙 마스크
마스크는 물 속에서 활동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 없이는 물 속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눈을 보호할 수 없게 됩니다. 프리다이빙 마스크는 우리의 눈과 렌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줌으로써 물 속 환경에서 프리다이버가 정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프리다이빙 마스크의 주요한 특성은 아래 3가지와 같습니다.
1) 저항값 감소 : 유선형 형태와 내부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물 속에서의 저항을 감소시켜줍니다.
2) 노즈 포켓(Nose Pocket) : 다이빙 도중 압력 평형(이퀄라이징; Equaliz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코 주위를 실리콘 제질로 보호해주는 부위입니다.
3) 실리콘 스커트 : 안구와 볼 주변부를 실리콘 재질로 완벽하게 밀착시켜줌으로써 다이빙 도중 해수 또는 담수가 안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마스크의 렌즈는 통상 강화유리 재질로 제작이 되지만, 최근에는 보다 쉬운 이퀄라이징과 마스크의 유연성을 위해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플라스틱 재질은 렌즈의 왜곡이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깔끔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약간 어려운 점이 있어서, 강화유리 재질의 마스크를 사용하시기를 추천합니다!
2. 스노클
스노클(Snorkel)은 안면부가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도 호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이는 프리다이버에게 DR(잠수반응; Dive Reflex)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다른 프리다이버(버디)가 다이빙을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프리다이빙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스노클 역시 유선형으로 제작되어 수중 저항을 최소화해주는 특성이 있습니다.
3. 프리다이빙 핀
프리다이빙 핀은 최소한의 운동으로 높은 추력을 발생시켜 물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길이에 따라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이 되는데, 사진으로 보시는 숏핀(Short Fin)과 사진보다 블레이드의 길이가 긴 롱핀(Long Fin)으로 구분이 됩니다. 블레이드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저마다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프리다이버의 신체특성에 맞는 소재를 골라 착용하면 됩니다.
4. 프리다이빙 슈트
물 속에서 활동하게 되면 인체는 체온을 빠르게 잃게 됩니다. 또한, 물 속에는 해파리, 말미잘 등 인체에 해를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습니다. 프리다이빙 슈트는 이러한 신체 열의 손실을 방지해주며, 신체에 해를 가할 수 있는 요인들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프리다이빙 슈트는 팔다리와 몸통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재질은 주로 네오프렌 재질로 제작이 됩니다.
슈트의 종류는 크게 원피스 슈트와 투피스 슈트로 구분되는데, 원피스 슈트는 28도 이상의 열대성 수역에서 주로 이용이 되며 최근 들어 프리다이버들 사이에서 유명해진 스타일입니다. 투피스 슈트는 원피스 슈트보다 착용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프리다이빙을 위한 기본적인 장비를 간단하게 소개해보았습니다. 웨이트벨트, 다이버 컴퓨터 등 부가적인 장비도 있지만, 위에서 소개해드린 4가지는 다이빙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모두들 올바른 장비 구매와 착용을 통해 안전한 프리다이빙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프리다이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다이빙 이론] 압력 평형(Equalizing)에 대하여 (0) | 2023.01.31 |
---|---|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폐 압착 (0) | 2023.01.31 |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저산소증 (0) | 2023.01.31 |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다이빙 반사(Dive Reflex) (0) | 2023.01.30 |
[프리다이빙 이론]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생명체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