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리다이빙16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저산소증 스쿠버 다이빙과 프리다이빙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속적인 산소 공급의 유무 여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리다이빙은 입수 전 숨을 크게 들이마신 후 호흡을 참으며 다이빙을 즐기기 때문에, 제한된 산소량으로 활동을 해야하고, 자신의 한계에 가까워지거나 한계를 넘어설 만큼 오랜 시간동안 다이빙을 하게 된다면 저산소증으로 인한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1. 저산소증의 3가지 형태 우리 몸속의 산소 분압이 한계치까지 다다를 때에 나타나는 저산소증 증상으로는 경련, 블랙아웃(BO), 얕은 물 졸도(SWB)가 있습니다. 경련이 나타나는 경우는 요구되는 산소량이 한계에 임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동 능력을 상실하게 되지만 다행히 아직 의식은 있는 상태입니다. 블랙아웃(BO)은 의식을 상실하는 단계이며, 의식을.. 2023. 1. 31.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다이빙 반사(Dive Reflex) 지구 표면적의 70% 가량은 물로 덮여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명체는 물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진화의 과정을 거듭해 왔습니다. 사진에서 보시는 돌고래가 물 속에서 오랜 시간 숨을 참으며 유영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다이빙 반사는 숨을 참으며 물 속에서 활동하는 많은 생명체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류도 프리다이빙을 즐기면서 이러한 다이빙 반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빙 반사 작용이 발현될 때에는 아래 4가지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1. 맥박수 감소 맥박수의 감소는 우리가 안면부를 물 속에 잠기게 하는 것만으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심장박동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혈류량 감소를 통해 소모되는 산소량을 줄임으로써, 산소를 오랫동안 보존해주고 더욱 오랫동안 물 속에서 .. 2023. 1. 30.
[프리다이빙 이론]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생명체 바다 속에는 산호와 말미잘, 불가사리부터 해마, 돌고래, 고래, 바다거북 등등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무수히 많은 동물과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프리다이빙을 배운다면 이러한 다양한 생명체들과 교감을 할 수 있게 되고 때로는 거북이나 고래, 물개들과 함께 바닷 속을 유영할 수도 있답니다. 지금부터 프리다이빙을 하며 만날 수 있는 바다 생명체들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척추동물 몸이 척추 또는 척수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구분이 되며, 머리, 몸통, 꼬리의 3부분으로 구분이 되는 동물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바닷 속에 서식하는 척추동물은 무려 4만 종 이상으로 추정이 되며, 돌고래와 고래, 각종 물고기들이 척추동물에 해당됩니다. 2. 극피동물(Echinodermata) 우리가 잘 알고 .. 2023. 1. 30.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장비 소개 정처없이 유투브를 돌아다니다보며 프리다이빙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널리 알려진 명소에 해외여행을 갔을 때, 수면에서 하는 스노쿨링 뿐만 아니라 프리다이빙을 하면서 예쁜 동물들과 교감도 하고 특별한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고 프리다이빙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답니다. 프리다이빙을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장비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프리다이빙 마스크 마스크는 물 속에서 활동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 없이는 물 속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눈을 보호할 수 없게 됩니다. 프리다이빙 마스크는 우리의 눈과 렌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줌으로써 물 속 환경에서 프리다이버가 정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프리다이빙 마스..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