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이빙은 잠수하려는 목적에 따라 2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해수나 담수 속에서 각종 생명체들과 교감을 나누면서 순전히 '즐기기' 위해 하는 프리다이빙, 즉 탐험 프리다이빙입니다. 다른 말로는 펀다이빙(Fun Diving)이라고도 합니다. 둘째는 잠수 시간, 수심, 잠영 거리 등 정량적인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기록 경신, 버디들과의 선의의 경쟁, 그리고 각종 협회에서 주관하는 국제대회에서의 신기록 달성 등을 목표로 하는 경쟁 프리다이빙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두 가지 프리다이빙의 유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1. 탐험 프리다이빙
서론에서 간략하게 소개해드렸듯이, 펀다이빙이라고도 불리우는 탐험 프리다이빙은 말 그대로 순수히 모험을 위한 프리다이빙입니다. 개인적인 기록 달성과는 관계 없이, 물 속에서 서식하는 생명체들과 교감을 나누고, 그들의 고향인 물 속을 같이 관람해보는 즐거운 프리다이빙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이 속해있는 조직이나 환경에서 잠시 떠나 세계 곳곳의 명소에서 수 만마리의 물고기들과 함께 유영을 하고 바다거북과 교감을 나누며 오색찬란한 산호초들이 즐비한 환경을 구경한다면 그동안 쌓여왔던 스트레스가 모두 해소될 것입니다. 이렇게 모험을 목적으로 하는 탐험 프리다이빙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지형에 따라 유도줄이나 부이 없이 다이빙을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부이란, 구명튜브와 유사하게 생긴 프리다이빙 장비로서, 프리다이빙을 하기 전 수면에서 휴식하거나 프리다이빙 한 세션을 마친 후 회복 호흡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탐험 프리다이빙을 하면서 유도줄이나 부이 없이 잠수를 한다면, 절대 무리하지 않고 안전에 유의한 가운데 다이빙을 즐겨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유의사항으로는, 수중에서 마주치는 동물과 식물들을 함부로 만지지 마시기 바랍니다. 인류의 눈에는 아름다워 보일지 몰라도 그들은 당신을 포식자로 인식할 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만약 그들이 당신을 포식자로 인식하여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독성을 이용하여 공격한다면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최근 산호초가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 증가로 인해 백화가 진행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사람이 산호를 만지거나 채집해 간다면 생태계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2. 경쟁 프리다이빙
경쟁을 위한 프리다이빙은 개인의 한계를 테스트하는 종목이기 때문에 탐험 프리다이빙보다 제한된 환경에서 진행됩니다. 특히 안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심판이 위치해 있고, 세이프티 다이버가 수면에 상주하면서 사람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모험을 위한 다이빙과는 다르게, 자신의 성적을 다른 집단과 비교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미래를 위해 다시 도전하는 의지를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경쟁 프리다이빙의 종목
경쟁을 위한 프리다이빙의 종목은 RAID 협회 기준으로 약 5가지 종목이 있으며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스태틱 앱니어 : 수면에 떠 있는 채로 한 번의 들숨을 마시고 안면부를 수면에 잠가 얼마나 호흡하지 않고 잠수할 수 있는 지를 측정합니다.
- 바이핀 다이나믹 : 바이핀을 착용한 채 수중에서 유영하는 거리를 측정합니다. 바이핀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오리발과 같은 장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모노핀 다이나믹 : 모노핀을 착용한 채 수중에서 유영하는 거리를 측정합니다. 모노핀이란 두 발을 하나의 핀에 장착하여 마치 돌고래가 유영을 하듯이 헤엄치는 추진장비입니다.
- 노핀 다이나믹 : 어떠한 핀도 장착하지 않은 채 오로지 다리의 추진력만 이용하여 유영하는 거리를 측정합니다.
- 프리 이멀젼(FIM) : 어떠한 핀도 장착하지 않은 채 오로지 부이에 달린 유도줄을 손으로 잡아 당기며 잠수를 하는 방식으로, 얼마나 깊이 잠수하는 지를 측정합니다.
'프리다이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다이빙 이론] 제한수역 세션을 위한 준비 (0) | 2023.02.02 |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전 스트레칭의 중요성 (0) | 2023.02.01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을 위한 부력 설정하기 (0) | 2023.02.01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버디 시스템 (0) | 2023.02.01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호흡법의 이해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