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이빙은 많은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입니다. 적절한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을 확보하면 깊은 수심에 잠수할 때 우리의 신체에 작용하는 강한 수압을 이겨낼 수 있고, 피닝을 하거나 급격한 회전을 할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지금부터 프리다이빙 전 스트레칭의 중요성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1. 스트레칭의 이점
프리다이빙 뿐만 아니라 우리가 행하는 각종 활동 전 신체 스트레칭을 했을 때 누릴 수 있는 효과는 매우 다양합니다. 우선 굳은 근육을 풀어주고 유연성을 확보하여 여러 가지 신체 활동을 더욱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혈액 순환을 도와주고 힘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켜줍니다. 이는 근육을 활용한 동작을 함에 있어 근육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줌으로써 장기간 활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마지막으로 특히 프리다이빙을 하기 전 실시하는 충분한 스트레칭은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심장박동수를 감소시켜 원활한 프리다이빙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프리다이빙을 할 때 호흡이나 심장박동수가 안정되지 못한다면 우리는 오랜 시간동안 잠수를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오랜 시간 잠수를 할 수 없게 되면 몸이 더욱 긴장하게 되고 마음이 조급해지면서 초과 호흡을 하거나 무리하게 잠수를 하다가 저산소증(경련, 블랙아웃, 얕은 물 졸도 등)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프리다이빙 세션을 진행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안전하게 프리다이빙을 진행해야 합니다.
2. 프리다이빙 스트레칭 방법
가장 기본적으로 스트레칭은 우리의 몸이 편안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스트레칭을 하며 몸이 불편하거나 통증을 느낀다면 그것은 잘못된 스트레칭이며 오히려 우리의 신체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은 채로 과도하게 스트레칭을 진행하게 되면 관절이나 근육의 파손을 유발하여 프리다이빙을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해야하는 상황이 닥칠 수도 있고, 다시 프리다이빙을 시작하려면 관련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 언제 다시 프리다이빙을 시작할 수 있을 지 상의하는 등 여러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스트레칭을 함에 있어 반드시 주의해야하고, 서두르지 않고 점진적으로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을 증대시킨다면 보다 즐거운 프리다이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스트레칭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성입니다. 한달에 하루만 집중적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보다 일주일에 2~3회 정도 꾸준히 규칙적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점진적으로 몸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3. 프리다이빙 스트레칭의 중요성
프리다이빙 전 스트레칭을 통해 관절과 근육의 유연성을 확보한다면 프리다이빙 동작 중 여러 가지 상황에서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프리다이빙 동작이 매우 많지만 그 중에서도 덕다이빙(Duck Diving)과 피닝 동작에서 가장 많은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덕다이빙(Duck Diving)이란 수면에서 잠수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취하는 자세로, 마치 오리가 물고기를 사냥하기 위해 물 속에 잠수하는 자세와 유사하여 '덕다이빙'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몸을 수면에 평행하게 엎드린 채로 떠 있다가 잠수를 시작할 때 허리를 90도 각도로 구부리며 물 속으로 잠수를 해야하는데, 충분한 유연성이 확보되었다면 적은 힘으로 정확한 덕다이빙 동작을 취하여 효울적인 잠수를 할 수 있고 이는 초기 소비되는 산소량을 감소시켜 더욱 오랜 시간 다이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두 번째로 피닝 동작에서 이점을 보는 이유는,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적은 힘으로도 몸을 유선형(Streamline)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민물이나 바닷물에 사는 물고기들이 헤엄치는 데에 유리한 형태로 진화가 된 것처럼, 프리다이버 역시 잠수를 하거나 유영을 할 때 몸을 유선형으로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유선형으로 몸을 유지해야 적은 힘으로도 강한 추진력을 얻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이 역시 산소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더욱 오랜 시간 프리다이빙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프리다이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다이빙 이론] 생리학 : 호흡 (0) | 2023.02.03 |
---|---|
[프리다이빙 이론] 제한수역 세션을 위한 준비 (0) | 2023.02.02 |
[프리다이빙 이론] 탐험(Adventure) 프리다이빙 vs 경쟁(Competition) 프리다이빙 (0) | 2023.02.01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을 위한 부력 설정하기 (0) | 2023.02.01 |
[프리다이빙 이론] 프리다이빙 버디 시스템 (0) | 2023.02.01 |
댓글